
블로그는 그 운영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는데요. 블로그를 운영하는데 부수익이 생긴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당연히 부수익을 얻기 위해 노력을 하겠지요?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블로그를 통해 부수익을 얻고자 할 때, 도움이 되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먼저 RS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SS란, Really simple Syndication 또는 Rich site Summary의 약자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자신이 작성한 글이 RSS를 신청한 사이트에서 검색이 되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하는 것입니다. 즉, 검색엔진에서 검색될 확률을 높이는 방법이라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블로그에 글을 쓰는 사람의 경우, Naver, Google, Bing, Zum등의 사이트에 RSS 서비스를 등록해 놓으면,
상대적으로 더욱 많이 본인의 블로그가 검색이 되어 부수익을 올리는데 도움이 됩니다.
RSS 신청 자체가 돈이 드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이왕이면 등록을 해놓는게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먼저, 네이버에 RSS 신청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순서대로 차근차근 따라하시면 쉽게 진행하실수 있을 겁니다.
글 읽기 귀찮으신분은 손가락 아이콘만 따라가시면, 쉽게 진행하실수 있습니다.
1. 검색창에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를 검색합니다.

2. 새로운 창이 뜨면, 웹마스터 도구를 클릭해 줍니다.

3. 웹마스터 도구를 클릭하면, 연동사이트 목록이 뜹니다. 여기에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추가해 줍니다. 저는 제 블로그주소인, https://fixquestions.tistory.com/를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다입력하였으면, 옆의 추가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4. 본인이 추가할 사이트가 실제로, 본인 소유인지 확인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여기서 부턴 헷갈릴수 있으므로, 차근차근 따라하시면 됩니다. 먼저, HTML 태그를 클릭하여, 하단에 나타나는 메타태그를 "<에서 >까지", 즉 괄호안의 내용을 복사해 줍니다.

5. 네이버 창은 그대로 두고, 새로운 창을 이용하여 자신의 블로그를 만들었던 사이트로 갑니다. 저같은 경우, 티스토리에서 만들었으므로, 티스토리로 이동하겠습니다. 티스토리 창을 들어가면, 우측 상단에 톱니바뀌모양의 아이콘이 보입니다. 이것은 블로그 관리화면으로 이동하는 버튼입니다. 해당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6. 관리화면에서 좌측에 꾸미기 탭에 있는 스킨변경을 클릭해 줍니다.

7. 현재 사용중인 스킨의 편집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8. 편집 버튼을 클릭하면, 우측 상단에 html편집 이라는 버튼이 생기는데, 이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9. html 편집을 클릭하면, 우측 화면에 명령어 창이 하나 생깁니다. 이 창에서 <head> 라고 써있는 부분의 아래에, 이전의 4번 단계에서 복사한 메타태그를 붙여넣기 해줍니다. 붙여넣기가 완료된후, 적용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10. 이전에 메타태그를 복사했던, 네이버 창으로 돌아갑니다. 이 창에서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소유 확인이 완료되었다는 창이 하나 생성됩니다. 여기서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11. 사이트 추가했던, 본인의 블로그를 클릭해 줍니다.

12. 요청 항목에서 RSS 제출 항목을 클릭해 줍니다.

13. RSS 제출 창이 뜨는데, 이 창에 자신의 블로그 주소 + /rss를 입력해 줍니다. 그 후 확인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14. 확인 버튼이 클릭되면, 등록된 RSS 항목에 자신의 블로그가 등록되어있음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과정을 통해, 네이버에 RSS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나,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댓글 남겨드리면 최대한 도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제공한 정보가 여러분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작품, 시제품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 (0) | 2020.04.15 |
---|---|
중국 특허 검색 방법 (0) | 2020.04.14 |
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걸까? (0) | 2019.12.17 |
클릭5번으로 공짜 이미지 검색방법 (1) | 2019.11.11 |
국외 논문 다운로드 방법 (Paper download by using SCI-hub) (0) | 2019.11.11 |